제주국립묘지 안장 규모 대폭 축소

페이지 정보

작성자한국장례신문 댓글 0건 조회 작성일 17-09-01 11:38

본문

제.jpg
1만기 안장을 목표로 건립 중인 제주국립묘지가 6000기로 축소돼 국가 및 참전유공자들이 반발하고 있다.

총사업비 512억원을 들여 2020년 개장을 하는 제주국립묘지는 제주시 노형동 산 19의 2 제주시충혼묘지 일대 33만4000㎡(묘역 면적)에 들어선다.

정부는 기반작업에 필요한 국비 99억원을 반영하면서 내년 상반기 중 첫 삽을 뜨게 됐다.

그런데 문화재 현상변경을 거치면서 당초 면적보다 18%나 줄어든 27만4000㎡에 제주국립묘지가 들어서게 됐다.

30일 제주특별자치도 보훈청에 따르면 2012년 사업 추진 당시 1만기 건립을 목표로 했다.

이는 제주출신 안장 대상이 6·25전쟁 참전자 8558명(전사 2022명), 베트남전쟁 참전자 2345(전사 106명) 등 모두 1만903명에 이르고 있어서다.

문화재청은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문화재 현상변경에 따른 허가조건으로 조선시대 목장 유적인 상잣성(1287m)을 보존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묘역 한 가운데 있는 수령 100년이 넘은 적송(赤松) 소나무수림을 보존수목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상잣성과 소나무숲을 보존하려다보니 묘역 면적이 축소됐고 안장 규모도 1만기에서 40%나 줄어든 6000기로 감소했다.

안장 규모가 크게 줄다보니 참전유공자들이 원하고 있는 비석을 세우는 봉안묘 대신 유골을 항아리에 담는 봉안당(납골당) 건립이 불가피해졌다.

비석이 들어서는 봉안묘는 1기당 3.3㎡의 면적이 필요하지만 봉안당은 가로·세로·높이 40㎝의 유골함만 있으면 돼서 상대적으로 많은 유골을 안치할 수 있다.

현시천 6·25전쟁참전자회 제주시지회장은 “팔순이 넘은 전우들은 흙 속에 묻히고 싶어하며, 유골을 항아리함에 담는 봉안당이 들어서면 가족묘지로 가겠다는 전우들도 나오고 있다”고 반발했다.

현 지회장은 “그동안 수차례 건의해도 중앙정부가 제주의 매장문화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보훈청 관계자는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조건을 이행하다보니 묘지면적이 축소돼 봉안묘로 조성할 경우 6000기만 안장될 수 있다”며 “봉안묘와 봉안당 2가지 안장방식에 대해선 국가 및 참전유공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용역을 거쳐 최종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보훈가족들의 숙원사업인 제주국립묘지 조성은 2012년부터 국책사업으로 추진됐으나 사업부지가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한라산보호구역에 들어서면서 그동안 5차례나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승인을 받아야 했다.

여기에 안장방식에 대한 논란까지 더해져 매년 사업이 연기됐으나 본예산으로 1차분 국비 99억원이 내년도 예산에 처음 반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