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묘지 장법의 자율화 우선돼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한국장례신문 댓글 0건 조회 작성일 23-01-03 10:20

본문


유재승.jpg

유재승 전국공원묘원협회 회장 

문화는 흐름이다. 물결이다. 특히 시대적인 흐름은 막을 수가 없다. 매장문화도 마찬가지다. 조선시대 518년 성리학으로 굳어진 양반사회, 사대부집안에서 내려온 매장문화가 변화되는 시기는 그리 오랜 세월이 걸리지 않았다. 전국공원묘원협회 산하 재단법인 묘지들이 태동할 시기인 1960년대에도 여전히 매장문화는 대세로 존재했다.

변화의 조짐은 바로 이때부터 나타났다. 박정희 정부 때 경제개발 계획이 발표되면서부터 ‘이촌향도(離村向都)’현상이 일어났다. 먹고살기 위해 도시로 이동했다. 일부는 집을 팔고 타 도시에서 터전을 잡은 가족도 있었다. 이때부터 봉안당 문화가 생겨났다. 이면에는 고향을 떠나와 돌아가서 묻힐 곳이 없는 사람도 있었다. 이들이 영면할 장소로 봉안당을 선택한 측면도 있다. 지금도 화장을 해서 최종 영면할 장소로 봉안당은 70% 국민들의 선택지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장사문화는 화장률이 90%를 넘는다. 대세다. 이는 되돌릴 수가 없는 장사문화의 흐름으로 자리를 잡았다. 화장문화가 자리를 잡았다는 것은 매장문화가 설 자리를 잃었다는 의미다. 재단법인 공원묘원도 이에 대한 대비를 꾸준히 해오고 있다. 하지만 공설묘지와 사설묘지의 기준차이로 재단법인을 운영하는 경영자들은 운영에 많은 차질을 빚고 있다. 빠른 시일 내에 개선돼야 하는 문제다. 공설묘지는 무연고묘지로 규정되면 일정 기간 공고를 하고 봉안당에 모셨다가 산골이라는 절차를 거치면 된다.

재단법인 묘지는 그렇지 못하다. 무연고묘지에 대한 기준이 없다. 정부의 관점으로 보면 사설법인은 무연고묘지에 대한 명칭조차도 쓸 수가 없다. 기준도 없다. 허가나고 민원이 해결된 묘지에 대해 활용방안을 빠르게 찾아야 하는 부문이다. 얼마 전 구리시와 경춘공원묘원이 구리시민들을 위한 편의 제공으로 MOU를 맺고 묘지사용에 대한 협약을 맺은 상당히 좋은 선례로 남을 것이다. 정부에 건의를 드리고 싶은 것은 자연장과 산골장이다. 정부는 지난 2013년에 설립한 한국장례문화진흥원이라는 재단법인을 통해 e하늘장사정보시스템의 운영과, 장사정책 및 장례문화의 연구 개발·지원·교육 ·홍보 등의 업무를 담당함으로써 선진장례문화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고 있다. 자연장 홍보도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앞에서 지적했듯이 그런데도 실질이용율은 5% 내외로 알고 있다. 70% 정도가 아직도 봉안당으로 가고 있다. 화장은 하되 장법의 선택은 정부의 의지와는 역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산골장도 있다. 조선시대 성리학의 기준으로 보면 이건 상상이 가지 않는 얘기다. 봉안당을 운영하는 경영자들에게는 당연히 반대의견이 나올 법한 일이다. 앞에서 기술했듯이 문화는 흐름이다. 장사문화도 마찬가지다. 흐름을 역행할 수는 없는 일이다. 산골장이 나온다는 것은 수요가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자연장을 홍보한다고 해서 실질이용율이 늘어나지 않듯이 산골장이 영업에 방해가 된다고 해서 반대를 하는 것도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이다. 장법은 자율화로 가야한다. 재단법인 묘지에서도 매장외에 봉안당, 자연장, 산골장 등 모든 장법을 자율화해서 남아도는 토지를 이용하고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장법의 선택은 국민들의 몫이기 때문이다. 계묘년 새해 전국공원묘원협회 회원들을 비롯한 전 국민들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