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시설 수급계획 마련 등 정부의 움직임 돋보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한국장례신문 댓글 0건 조회 작성일 14-04-05 09:48

본문


최근 나온 보건복지부 공식발표에 의하면 2006년 전국 화장률은 56.5%라고 한다. 그렇다면 올해의 화장률은 60%를 상회할 가능성이 크다. 불과 10년 전만해도, 화장률이 20%대에 머물렀었는데, 무려 3배 가까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다.

화장이 보편화된 시대 도래

이 발표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먼저, 주변 사람 10명이 세상을 떠나면, 그 중 6명은 화장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드디어 우리나라에도 화장이 보편화된 시대가 온 것이다.

하지만 화장률이 80%대에 이른 대도시 지역과, 아직 20%에 채 못 미치는 농촌지역이 공존하는 양극화 현상을 보이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 수(壽)를 누렸다고 할 수 있는 70대 이상의 화장률이 50%를 밑돌고 있는 것도 문제다.

아직까지 화장은 악상(惡喪)의 장법이라는 인식과 전통적인 매장선호 의식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여겨진다. 이와 같이 명암이 교차하고 있는 것이 21세기 초 한국 장묘문화의 현실이다.

화장 많이 하지만 수도권 화장시설 부족은 이미 대란 수준

먼저 밝은 면을 살펴보면 최근 전국적으로 공원묘지 신설 움직임이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그만큼 매장으로 인한 자연환경 파괴가 줄어들었다고 보아도 좋다는 얘기다.

반면 전국 곳곳에 납골(봉안)시설은 늘어나고 있다. 묘지를 대체한 봉안당이나 납골묘는 어느 틈엔가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 잡았다.

또 극히 일부이기는 하지만, 지자체가 화장시설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도 보이고 있다. 인구 2만5000명인 강원도 인제군이 그 대표적인 케이스이다. 또 충남 홍성 화장장 현대화 작업에 15개 시군이 공동으로 참여하였다는 점도 새로운 바람이다. 이런 것은 화장률 증가를 뒷받침할 당연한 움직임들이다.

그런가 하면, 부정적인 모습은 너무 많이 보이고 있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의 화장시설 부족은 이미 대란 수준에 이르렀다. 그것이 집단적으로 표출되지 않고 있을 뿐이다. 그럼에도 화장장 신설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봉안당의 신설 역시 다수의 반대에 밀려 표류하기는 마찬가지다. 집값이 떨어질까 봐 내 주변에 이런 시설이 오는 것을 지역 주민들이 결사적으로 막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자체의 미온적인 대응도 이를 한몫 거들고 있다.

이미 마련된 사설 봉안시설의 지나친 상업성도 우리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적어도 수십 년 이상, 대를 이어 사용해야 할 시설에서 역사성은 커녕 현대 대중문화마저 담아 내지 못하고 있다. 납골묘들은 거대한 돌덩어리 때문에 지적을 받은 지 이미 오래됐고, 최근 열풍이 분 수목장은 이름을 붙이는 것조차 낯 뜨거울 정도이다. 어느 것이나 후손들에게 무엇을 남길까 고민한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다.

최근 장사시설 수급계획 마련 등 정부의 움직임 돋보여

이런 상황 속에서 이번 복지부의 발표는 여러모로 돋보인다. 무엇보다도 전국적인 화장 추이를 성별, 연령별, 기초지자체별로 세세한 부분까지 최초로 분석한 점이 인상적이었다. 정확한 통계는 문제를 파악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데 아주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또 정부가 먼저 장사시설수급계획을 마련하고, 지자체들로 하여금 5년마다 수급상황을 판단하도록 한 것은 옳은 판단이다. 이제야 전근대적인 장사행정에서 과학적인 현대행정으로 전환되기 시작했다고 봐도 무리가 없다. 더구나 정부차원에서 장사시설에 대한 국민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펴 나갈 계획이라는 것도 고무적이다.

이런 노력이 결실을 거두면, 선택은 국민들의 몫으로 넘어 갈 것이다. 흔히 하는 말 이지만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 주변에서 삶을 마감한 사람들 10명 중에 6명이 화장, 납골하는 시대에, 내 사랑하는 가족이 바로 그 여섯 사람 중에 들어 있는데도 언제까지 “내 옆에는 안 된다”고 반대만 하고 있을 것인가?